Dicots
Grewia biloba G.Don
Primary tabs
Nomenclature
SUMMARY
낙엽성 관목. 높이 2m. 소지 융모가 밀생한다. 잎 어긋나기, 달걀형 또는 능형 비슷한 달걀형, 점첨두, 아심장저 또는 넓은예형, 아랫부분에서 3개의 큰 맥이 발달, 크기는 4-12cm × 3-8cm이다. 표면은 거칠고 뒷면에 별모양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이중예거치가 발달하고, 잎은 얕게 3개로 갈라진다. 잎자루는 길이 3-15mm, 별모양 털이 있다. 꽃 암수한꽃, 지름 1cm, 연한 노란색, 취산꽃차례 또는 산형꽃차례, 꽃은 5-8개씩 달리고, 꽃자루는 길이 3-10mm이다. 꽃받침잎은 거꿀피침형, 길이 7-8mm, 겉에 별모양 털이 있으며, 꽃잎은 길이 3mm이다. 열매 둥글거나 장구통 같다. 노란색 또는 붉은노란색, 털이 없고 종자가 1개 들어있는 경우 지름 6mm, 2-4개 들어있는 것은 지름 8-12mm이다.
개화기 6월말-8월초순
결실기 9월초순-10월말
분포 중국 동부-남부 및 내륙; 황해도, 경기도, 충청남도, 전라남북도 및 경상남도 등 주로 서해안
분류학적 소견 Rehder(1934)는 털이 다소 없는 var. glabrescens (Bentham) Rehder를 중국 동부, 남부 및 내륙에 분포하는 G. biloba의 이명으로 처리하면서 var. biloba는 잎이 다소 길며 긴달걀형, 긴타원형인데 반해, var. parviflora는 잎이 짧으면서 너비가 더 넓고, 달걀형이며 잎이 전체적으로 작다고 구분하였다. 그러나, Rehder 자신도 두변종간 중간형태가 많아 뚜렷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음을 인정하였다. 최근 영문판 중국식물지(Tang et al., 2007)에서는 var. parviflora(Bunge) Hand.-Mazz.를 잎에 털이 더 많고 꽃이 작다고 주장하나 꽃의 크기 역시 변이가 심하고 이런 개체들은 일정한 지리적 분포를 보이지 않아 타당성이 낮다. 또한, 추가로 잎이 작고 비교적 원형이면서 다소 털이 적은 것은 var. microphylla (Maxim.) Hand.-Mazz.로 인정하지만 이 특징 역시 G.biloba 전체에서 나타나는 변이의 일부로 판단되어 모두 G. biloba의 이명으로 본다.
Shrubs up to 2m, branchlets pubescent. Leaves decisuous, alternate, ovate-orbicular, shallowly 3-lobed, 4-12cm × 3-8cm, abaxially scabrous, adaxially stellate hairy, margin double serrulate, lateral veins 3 pairs, pettiole 3-15mm long with stellate hair; flowers monoecious, 1 cm wide, yellow , cymes axillary or umbel, flowers 5-8, peduncle 3-10mm, sepals oblong, 7-8 mm, abaxially hairy, petals 3 mm. Ovary round, Drupe yellow or redish yellow, glabrous, 2-4-lobed; drupelets 1 per lobe.
Flowering lae June to early Aug
Fruting early Sep to late Oct
Distribution China South costline; Hanghaenam-do, Gyenggi-do, Chungcheonnam-do, Jellanam-do, Gyongsangnam-do, west to south coast
Rehder (1934) regarded var. glabrescens (Bentham) Rehder as a synonym of G. biloba distributed in eastern and southern China. He also discriminated var. biloba from var. parviflora by a somewhat long, large oval-shaped leaves. However, Rehder himself admitted that there were no distinct differences as there were numerous intermediate forms between these two infraspecific taxa. In the English version of Chinese Plants (Tang et al., 2007), var. parviflora (Bunge) Hand.-Mazz. seems to have more pubescent on leaves and small flowers, but the size of the flowers is also variable without any distinctive geographical distribution. Also, var. microphylla (Maxim.) Hand.-Mazz. is also considered to be a variety of G. biloba based on the small flowers. All these infraspecific taxa are considered to be a synonym of G. bilob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