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cots
Grewia biloba G.Don
Nomenclature
SUMMARY
낙엽성 관목. 높이 2m. 소지 융모가 밀생한다. 잎 어긋나기, 달걀형 또는 능형 비슷한 달걀형, 점첨두, 아심장저 또는 넓은예형, 아랫부분에서 3개의 큰 맥이 발달, 크기는 4-12cm × 3-8cm이다. 표면은 거칠고 뒷면에 별모양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이중예거치가 발달하고, 잎은 얕게 3개로 갈라진다. 잎자루는 길이 3-15mm, 별모양 털이 있다. 꽃 암수한꽃, 지름 1cm, 연한 노란색, 취산꽃차례 또는 산형꽃차례, 꽃은 5-8개씩 달리고, 꽃자루는 길이 3-10mm이다. 꽃받침잎은 거꿀피침형, 길이 7-8mm, 겉에 별모양 털이 있으며, 꽃잎은 길이 3mm이다. 열매 둥글거나 장구통 같다. 노란색 또는 붉은노란색, 털이 없고 종자가 1개 들어있는 경우 지름 6mm, 2-4개 들어있는 것은 지름 8-12mm이다.
개화기 6월말-8월초순
결실기 9월초순-10월말
분포 중국 동부-남부 및 내륙; 황해도, 경기도, 충청남도, 전라남북도 및 경상남도 등 주로 서해안
분류학적 소견 Rehder(1934)는 털이 다소 없는 var. glabrescens (Bentham) Rehder를 중국 동부, 남부 및 내륙에 분포하는 G. biloba의 이명으로 처리하면서 var. biloba는 잎이 다소 길며 긴달걀형, 긴타원형인데 반해, var. parviflora는 잎이 짧으면서 너비가 더 넓고, 달걀형이며 잎이 전체적으로 작다고 구분하였다. 그러나, Rehder 자신도 두변종간 중간형태가 많아 뚜렷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음을 인정하였다. 최근 영문판 중국식물지(Tang et al., 2007)에서는 var. parviflora(Bunge) Hand.-Mazz.를 잎에 털이 더 많고 꽃이 작다고 주장하나 꽃의 크기 역시 변이가 심하고 이런 개체들은 일정한 지리적 분포를 보이지 않아 타당성이 낮다. 또한, 추가로 잎이 작고 비교적 원형이면서 다소 털이 적은 것은 var. microphylla (Maxim.) Hand.-Mazz.로 인정하지만 이 특징 역시 G.biloba 전체에서 나타나는 변이의 일부로 판단되어 모두 G. biloba의 이명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