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Dicots
Fraxinus (chinensis) var. rhynchophylla (Hance) Hemsl.
Primary tabs
Nomenclature
SUMMARY
낙엽성 교목. 높이 10m. 보통 관목. 겨울눈 및 소지 겨울눈은 털이 있거나 없다. 가지 끝은 정아가 1개 있고 정아는 큰 달걀형, 끝은 뾰족하고 2-4개의 아린이 있다. 측아는 마주나기, 정아는 측아보다 크며, 길이 5-13mm이다. 소지는 회갈색, 털이 없다. 잎자국은 반원형 또는 심장형이며 크다. 잎 마주나기, 홀수 1회 깃털형겹잎, 소엽은 5-7개, 달걀형, 넓은달걀형, 넓은피침형 또는 피침형. 6배체의 식물로 잎의 변이가 매우 심하다. 점첨두, 예저, 크기는 6-15cm × 3-7cm이다. 표면은 녹색, 털이 없고 뒷면은 회녹색, 중륵 위에 털이 있으며 소엽의 잔거치는 발달하지만 물들메나무에 비해서는 적다(20-30개). 소엽의 잎자루는(1)2-5(13)mm이다. 꽃 암수딴그루, 암수한꽃도 섞여있고 꽃차례는 새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원추꽃차례 또는 복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거나 거의 밋밋하고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고, 수꽃은 수술과 2개의 꽃받침잎이 있고, 암꽃은 2-4개의 꽃잎과 수술 및 암술이 있고 꽃잎은 거꿀피침형이다. 열매 및 종자 시과, 길이 2-4cm, 날개는 피침형 또는 긴피침형이며 약간 뾰족하다.
개화기 4월중- 6월초(강원 일부 지역)
결실기 9월
분포중국 북부 및 동북부, 일본 혼슈-큐슈; 전국
생태적 특징 토양의 수분이 많고 비옥한 곳에 자라며 다소 양수의 특징이 있지만 양수와 음수의 중간으로 본다.
분류학적 소견 과거에는 중국에 분포하는 F. chinensis의 이명, 아종, 혹은 아예 독립종으로 처리하는 분류학적 견해 차이가 심한 종이다. 꽃의 성과 잎의 모양, 분포의 특징으로 비교적 뚜렷하다고 하나 중국 중부에 분포하는 중간 형태가 많아 변종 처리가 적절하다고 판단한다. 주로 경기도 북부와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 자생하는 개체는 겨울눈이나 소엽 자루에 털이 많이 있으면서 세장하여 주로 남부에서 발견되는 개체들과 구분하여 광릉물푸레(F. densata Nakai)로 불리기도 하지만 물푸레나무의 개체변이로 본다. 일본에 분포하는 F. japonica Blume ex K. Koch와 비교할 때 모두 이런 변이는 연속변이로 판단된다(강 등, 2002). F. japonica는 이배체로서 F. chinensis 와 물푸레나무의 6배체와는 다르다고 하지만 모두 형태가 유사해서 본 종의 이명으로 판단된다.
Taxonomic Remarks: In the past, this taxon is treated as a synonym of F. chinensis, or a subspecies, or is even recognized as a distinct species. It is relatively distinct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 sex expression, the shape of leaves and distribution patterns, but the variety level of F. chinensis is appropriate because of the presence of many intermediate forms distributed in the central part of China. Some individuals from Gyeonggi-do and Gangwon-do, F. densata Nakai is distinguished from var. rhynchophylla by hairy leaflets and hairy bud scales. It is unwise to recognize this taxon as a species only based on hairy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F. japonica Blume ex K. Koch in Japan is a diploid, while F. chinensis is a hexaploid in terms of chromosome number. F. japonica is somewhat similar to the F. chinensis complex (Kang et al., 2002) and F. japonica is reduced to synonymy under F. chinen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