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Dicots
Lonicera maximowiczii (Rupr. ex Maxim.) Rupr. ex Maxim.
Primary tabs
Nomenclature
-
Family: CaprifoliaceaeGenus: Lonicera
SUMMARY
낙엽성 관목. 높이 3m. 소지 가지의 골속이 차 있으며, 소지는 2-4개 각이 진다. 잎 넓은 침형, 점첨두이면서 넓은 저이다. 크기는 3-5(8)cm × 2-3.5(4)cm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털이 있다. 뒷면은 회청색을 뛰며 가을에도 주맥에 흰털이 많이 남아 있다. 잎자루는 4-5mm이다. 꽃 새가지의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꽃자루는 길이 10-15mm이며, 대개 잎 뒷면을 따라 붙어있고 포는 길이 1-3mm, 소포는 길이 .5mm이며, 합쳐진다. 꽃부리는 짙은 보랏빛의 적색이며, 길이 5-10mm, 꽃부리통이 꽃잎보다 짧으며 밑부분이 넓다. 열매 및 종자 씨방은 중앙이상까지 합쳐지며 암술대에 털이 있다. 달걀형의 원형, 적색이다.
개화기 5월말-6월중순
결실기 8월말-9월중순
분포 중국동북부, 극동러시아, 일본 홋카이도; 평안남북도, 함경남북도, 강원도, 전라북도, 경상북도등 백두대간
분류학적 소견 홍괴불나무는 때로 꽃자루가 길고, 겨울눈이 발달해서 각시괴불나무로 오동정되는 경우가 있지만, 꽃 색깔이 적색(각시괴불은 흰색이거나 노란색)이며 열매가 합쳐지며, 가지의 골속이 차 있고, 잎 가장자리에 잔털 같은 거치가 매우 많으며, 잎자루가 짧아서(4-5mm, 각시괴불의 경우 (6-8mm) 쉽게 구분이 된다. 극동러시아수목지 (Koropachinskiy and Vstovskaya, 2002)에서는 일본과 사할린 지역의 개체를 L. sachalinensis (F. Schmidt) Nakai, 극동러시아, 중국과 한국의 개체를 L. maximowiczii 로 구분하고 있는 반면, Hara(1983)는 전자를 L. maximowiczii var. sachalinensis F. Schmidt 로 처리하고 있다. 또한, Hara는 L. maximowiczii 중 한반도에 분포하는 개체는 다시 L. maximowiczii var. latifolia (Ohwi) H. Hara 로 구분하고 있다. 이런 분류학적 처리에는 홍괴불나무의 잎 뒷면의 털의 유무와 잎의 크기 차이, 샘이 있거나 없는 특징 등 매우 변이가 심한 개체를 중심으로 세분화 한 것으로 Hara 자신도 실지로 var. latifolia 중 한반도 북부와 남부의 차이가 심함을 인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두 이명으로 판단해서 한 종으로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