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cots
Acer komarovii Pojark.
Primary tabs
Nomenclature
SUMMARY
낙엽성 작은 교목. 수피가 회색. 겨울눈 및 소지 정아 1개 발달, 측아는 마주나기, 긴달걀형, 끝은 날카로우며, 아린은 2개이다, 정아는 측아보다 크며 길이 4-6mm이다. 어린 가지는 자주색, 점차 회색으로 된다. 엽흔은 V, 혹은 U자형이다. 잎 마주나기, 긴달걀형, 3-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달걀형, 점첨두, 밑부분이 잎의 아래 부분은 원형 혹은 심장형, 크기는 5-9cm × 5-10cm, 뒷면 맥위를 따라 갈색 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치아상 또는 파상의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길이 2-5cm, 붉은빛이 돈다. 꽃 양성화와 수꽃이 한그루에 달리며(andromonoecious), 총상꽃차례는 가지 끝에 달리고, 길이 6-8cm, 털이 없고 6-8(10)개의 노란 꽃이 달린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개, 길이가 서로 비슷하다. 열매 및 종자 크기 (날개포함)는 20-25 × 5mm, 날개는 피침형이다.
개화기 5월초순-6월초순
결실기 9월말-10월중순
분포 중국 동북부, 극동러시아; 함경남북도, 평안
남북도, 강원도, 전라남도 등 백두대간
분류학적 소견 시닥나무는 과거 일본에 분포하는 A. tschonoskii Maxim.의 변종(var. rubripes Kom.) 으로 취급되었는데, 일본의 A. tschnonoskii와 비교해서 꽃의 수가 적고(6-8 vs 8-20), 열매자루의 길이가 짧으면서(3-6 vs 6-12mm), 종자의 크기가 커서(10-17 × 6-9 vs 9-18 × 6-12mm) Pojarkova(1949)와 Fang(1982)이 제안한 별개의 독립 종을 지지한다.
Trees up to 3-4m, barks gray and smooth, winter buds terminal, ellipsoid with 2 scales, terminal bud larger than lateral, 4-6 mm long, branchlet reddish to gray, leaf scars V or U shate, Leaves opposite, ovate, 3-5 lobed, abaxially brown pubescent along the vein, 5-9cm × 5-10cm, margin serrate, middle lobes serrate apically, petioile reddish, 2-5 cm long, Inflorescence terminal, racemose, 6-8 cm long, 6-8(-10)-flowered, glabrous, andromonoecious, Sepals 5, Petals 5, almost equal to sepals. Disk glabrous, flat, intrastaminal. Ovary reddish, purple when young. Nutlets flat, smooth, wing including nutlet 20-25 × 5mm,wings lanceolate.
Flowering mid May to early June
Fruting late Sept to mid Oct.
Distribution; Northeastern and northern China, far Eastern Russia; far North, North (Baekdudae-gan)
Taxonomic notes: This taxon was treated as a variety of Acer tschonoskii Maxim. (i.e., var. rubripes Kom.) which is distributed in Japan. Compared to A. tschnonoskii in Japan, the number of flowers and the length of this taxon is smaller (6-8 vs 8-20) and shorter (3-6 vs 6-12mm). Also, the size of the seeds is larger (10-17 × 6-9 vs 9-18 × 6-12mm) than that of Acer tschonoskii . Therefore, taxonomic treatment of this taxon should be treated as an independent species and supported Pojarkova's (1949) and Fang's (1982)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