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Gymnospermae
Abies holophylla Maxim.
Primary tabs
Nomenclature
SUMMARY
상록 교목. 높이 40m. 지름 1.5m. 수피는 잿빛이 도는 암갈색, 거칠다. 겨울눈 및 소지 겨울눈은 달걀형, 털이 없으나 수지가 약간 있다. 소지는 회갈색, 털이 없거나 간혹 있고 얕은 홈이 있다. 잎 선형, 30- 40mm × 2mm,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백색 기공선이 있고, 횡단면에는 수지구가 있다. 배우체 수배우체 차례는 원통형, 길이 15mm로서 황록색이다. 암배우체는 2-3개가 서로 접근하여 달리고, 길이 3.5cm, 긴 타원형, 길이 6mm 정도의 화경이 발달한다. 구과 원통형, 10-12cm × 3.5cm,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다. 씨앗바늘은 거의 둥글고 길이 25-30mm, 흔히 밖에 수지가 묻으며 포는 밖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종자 난상 삼각형, 12mm × 6mm로서 연한 갈색이며, 날개는 13.5mm × 12mm이다.
포자체 염색체수 24.
배우체 형성기 4월 하순
결실기 10월 상순
분포 중국 북부, 동북부, 극동러시아; 함경남북도,평안남북도-백두대간
분류학적 소견 일반인들은 구과에서 나오는 흰송진이 마치 흰 젖이 나오는 것처럼 보여‘젓나무’로 명명되었다고 잘못 알고 있다. 실제‘젓’의 의미는 잎의 끝이 바늘처럼 길게 뾰족하면서 구과가 분비나무나 구상나무에 비해 2배 이상이 커서 붙여진 ‘큰 구과면서 바늘 처럼 길게 뾰족한’의미의 비속어로 보고 있다. 즉‘젓’이 달리는 나무라는 뜻이며, 이와 유사한 나무 이름으로‘잣’이 달리는 나무인‘잣나무’가 있다. 젓나무의 경우처럼 자음접변화해서 전나무로 수목명을 사용한다면 잣나무 역시 잔나무로 국명을 표기해야 한다는 일관성을 주장하는 의견이 있다(이창복 교수). 저자 역시 이창복교수의 의견이 타당하다고 판단하여 국명을 젓나무로 표기하였다.
Tree up to 40m, 1.5 in diameter, bark scaly, grayish brown; buds ovoid, glabrous, resinous; leaves linear, 30- 40mm × 2mm, pointed, with 2 broad stomatal bands beneath, resin canals 2, median; pollen cones narrowly oblong, 15 cm long, yellowish green when young, seed cones 2-3, 3.5 cm long, mature seed cones 10-12cm × 3.5cm, bracts small, appressed on the scale, not exserted. Seeds obtriangular, 12mm × 6mm, brown, wing 13.5mm × 12mm
2n=24.
Pollination late April
Seed maturity early Oct
Distribution China Northeast and North, Far east Russai; Hamkyong-do, Ryangang-do, Jagang-do, Pyongan-do to Gyonggi-do and Ganwao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