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cots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Nomenclature
SUMMARY
낙엽성 교목. 높이 30m. 지름 1m. 겨울눈 및 소지 달걀꼴, 5각형으로 각이 진다. 25-35개 아린 존재하며, 정아는 측아보다 크다(5-10mm), 주변에 정생측아가 모여 돌려난다. 새 가지에 간혹 털이 있고 곧 없어진다. 잎자국은 반원형, 속은 별모양이다. 잎 어긋나기, 가지끝에서 모여나기한 것처럼 보임. 참나무 중에서 가장 일찍 잎이 나오며 숟갈형 또는 거꿀달걀상 긴타원형, 둔두이며 갑자기 밑으로 좁아지면서 잎 아래는 귀모양, 크기는 7-20cm × (3)5-10cm, 3-17쌍의 톱니는 둔두, 뒷면 맥위에 털이 있는 것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1-13mm, 털이 없다. 꽃 잡성 암수한그루. 암꽃차례는 윗부분에서 곧추 자라고 모두 털이 없다. 잡종성의 것은 털이 있다. 수꽃은 1-17개의 수술, 3-12개의 꽃잎, 암꽃은 1개 또는 여러 개, 6개의 꽃잎, 1-5개의 암술머리. 열매 및 종자 견과 (도토리)는 떨어지면 곧 싹이 나오며, 6-25mm × 6-15(21)mm이며 타원형이다. 컵(각두)의 포린은 구부러지며 많이 튀어나온다.
포자체 염색체수 24.
개화기 4-5월
결실기 9-10월초
분포 중국 동북부, 극동러시아; 한반도 전역
생태적 특징 양수지만 내음성이 강하다. 맹아력이 강하며 자연식생에서는 흔히 소나무, 젓나무, 분비나무, 단풍나무류와 숲에서 같이 자란다. 내화성이 강하며 토양은 갈색 토양이 주를 이룬다.
분류학적 소견 물참나무는 잎의 뒷면에 긴 단모와 더불어 잔 성모가 있는 것으로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잡종성에서 온 것이며, 주로 한라산, 지리산, 가야산에 집단을 이루고 있다. 일본물참나무는 일본 북부에서 중부까지 비교적 넓게 분포하는 분류군으로서, Q. mongolica의 변종으로 [Q. mongolica var.crispula (Blume) H. Ohashi] 인정하고 있다. 일본물참나무는 졸참나무 잡종이입(introgressive hybridization)에 의해 형태적으로 졸참나무에 가까게 보이며, 국내 집단을 이루는 물참나무와 비교할 때 잎의 거치가 보다 졸참나무에 가깝고 잎 뒷면에 졸참나무의 특징인 복모가 발달한다. 이런 형태적 특징 때문에, 국내 발견되는 물참나무와 일본물참나무를 최근 Ohba(2006)는 모두 종으로 인정해서 Q. crispula Blume으로 부르고 있다. 전체적으로 Ohba의 분류학적 처리는 종을 매우 좁게 보는 분류학적 견해뿐만 아니라 낙엽성 참나무류의 잡종을 부정하는 입장에서 정리하였다. Ohba는 신갈나무와 물참나무의 종간 특징으로 신갈나무는 열매의 컵부분(총포)에 보다 길게 나열된 홈인 반면, 물참은 훨씬 촘촘하게 분포한다고 주장하나 이는 매우 변이가 심한 형질로서 두 분류군을 종으로 구분하는 특징으로는 적절하지 않다.
Trees to 30 m tall, 1 m d.b.h, deciduous. Branchlets purple-brown, angular, glabrous, lenticellate. Leaf blade obovate to narrowly so, 7-20 cm long, (3)5-10 cm wide, hairy along veins, glabrescent, base narrowly rounded to auriculate, margin with 7-10 undulate to rough serrations on each side, apex truncate, shortly mucronate, or cuspidate; petiole 1-13 mm, glabrous. Female inflorescences axillary on apical part of young shoot, 0.5-2 cm; cupules 4 or 5 but usually only 1 or 2 fertile. Perianth 6-lobed. Fruits cupule cupular, 6-25mm long, 6-15 mm wide, enclosing 1/3 of nut; bracts basal from cupule rim triangular-ovate, abaxial surface semiglobose tuberculate; nuts narrowly ovoid, glabrous except for apex.ever.
Flowering Apr to May.
Fruting September to October
Distribution: China, Korea, Russia.
Korea: All provinces. Forming pure stands on higher mountain slopes, dry bluffs and foothills; to ca. 1600 m in E Korea.
Quercus mongolica var. crispula (Blume) H. Ohashi in Japan is suspected as being the result of introgressive hybridization of Q. mongolica with Q. serrata. Populations of fairly narrow distribution and extreme variability occur often with Q. mongolica x Q. serrata in southern Korea (Jiri-san and Halla-san). Q. mongolica var. crispula in Korea exhibits the leaf form of Q. mongolica var. mongolica, but the trichome characters of Q. serrata. Although It is morphologically different from Q. mongolica var. crispula in Japan, Korean taxon is treated as a variety of Q. mongolica likewise in terms of hybridization between Q. mongolica and Q. serrata.